티스토리 뷰
도커 이미지를 다루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몇가지를 다뤄보고자 한다.
1. 컨테이너로부터 도커 이미지 생성
기존 도커 이미지로 생성된 컨테이너를 새로운 도커이미지로 생성하는 방법이다.
$ docker container commit [옵션] 컨테이너 식별자 [이미지:[태그명]]
1. apache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하나 올려 index 페이지를 확인한다.
2. 컨테이너에 vim을 설치 후 index 페이지를 수정한다.
3. commit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 후 확인한다.
4. 생성된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올린 후 인덱스 페이지를 확인한다.
2. 컨테이너를 tar 파일로 출력
$ docker container export [컨테이너 식별자] > [파일명].tar
=> tar 파일 이미지로 생성
$ cat [파일명].tar | docker import [이미지명:[태그]]
* 실행시 엔트리 포인트를 지정해주어야 한다.
지정하지 않을 시 docker: Error response from daemon: No command specified 에러 발생.
이 오류는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을 아카이빙하고 이미지로 만들것이므로 docker가 이 이미지의 엔트리 포인트를 알지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. 따라서 실행시 엔트리 포인트를 직접 지정해주어야 한다.
3. 이미지를 tar 파일로 저장 후 다시 읽기
$ docker save –o [파일명].tar [이미지명]
$ docker image load –I [파일명]
'INFRA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tutorial 4: 도커 파일 작성과 실습 예제 (1) | 2024.12.13 |
---|---|
Docker tutorial 2: 컨테이너와 도커 구조 (0) | 2024.11.24 |
Docker tutorial 1: 도커 설치와 기본 명령어 정리 (0) | 2024.11.23 |
Docker tutorial 0: 실습환경 구축 (1) | 2024.11.22 |